티스토리 뷰

가정-안전사고-예방수칙

 

가정 안전사고 예방 규칙

가족-사진

가장 안전한 곳임과 동시에 가장 사고가 많은 장소인 집! 특히 어린아이들의 안전사고 중 절반 이상이 집에서 발생한다는 한국 소비자원의 발표 결과도 있습니다 무심코 지나치기 부분들부터 꼭 지켜줘야 할 안전수칙 5가지를 소개드립니다

 

 

가정 안전사고 예방 Tip

가정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몇 가지 팁들을 알려드리겠습니다

잠자는-아기

  • 영유아기의 아이를 재울 때는 엎드린 채로 재우시면 안 됩니다 엎드린 채 잠들면 돌연사 증후군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아이가 완전히 잠든 뒤에도 수시로 어떤 자세로 누워있는지 체크해 주세요
  • 엄마들의 경우 화장품은 화장대가 아닌 서랍 안에다 넣어두세요 아이가 호기심에 만지려고 하다가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가급적이면 화장품도 안전캡이 씌워진 것을 사용하시는 걸 권장드립니다
  • 가급적 바닥재를 문지방과 동일한 높이로 해서 아이들이 문지방에 넘어지는 일이 없게 해 주시는 게 좋습니다
  • 집안의 문류(베란다 창문이나 서랍장 등등)이나 날카로운 물건(칼이나 집게, 가위 등)에 대해 한 번이 아닌 수시로 교육을 해주셔야 합니다 또한 호기심에 건드릴 것을 대비해 물건들은 아이가 안 보이는 곳에 숨겨두시는 게 좋습니다
  • 화장실 바닥에 쿠션패드 등을 설치해 미끄러워 넘어지는 일이 없도록 해주시고 욕실 문 앞에 있는 러그도 가급적 사용을 안 하시는 게 좋습니다

조금 더 구체적인 내용들을 살펴보자면 아래의 내용들이 있습니다

 

 

베란다·창가 난간에 박스나 폐가전 등 물건 여부

베란다

난간보다 키가 작은 아이들이 이쪽에 박스나 폐가전 등이 있다면 무심코 딛고 올라서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정말 불가피한 상황이 아니라면 베란다나 창가 난간 쪽엔 그 어떤 물건도 놓지 않는 것을 권장드리며 어쩔 수 없는 경우엔 아이가 접근하지 못하게 막아두셔야 합니다

 

다리미 관리

다리미

매우 높은 고열이 나는 다리미는 아이들이 호기심에 건드리기 좋은 위험한 물건입니다 특히 아직 제대로 된 피부가 형성되지 않은 영유아기 아이들에게 고열의 다리미는 화상까지 이어질 수 있는 매우 위험한 물건이기 때문에 절대로 아이의 손에 닿지 않는 위치에 두셔야 하며 꼭 써야 하는 상황엔 다리미를 두고 자리를 벗어나지 않으셔야 합니다

 

커튼과 블라인드 줄

커튼

커튼이나 블라인드에 있는 줄은 아이들이 호기심에 만졌다가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물건 중 하나입니다 아예 줄을 빼거나 그게 어렵다면 줄이 안 보이게끔 해놓거나 아예 줄을 만질 수 없는 위치까지 올려다 놓으시는 걸 권장드립니다

 

 

책상이나 의자 등 가구 모서리

모서리-쿠션

뭉툭하거나 날카롭고 뾰족한 모서리 부분에 아이가 부딪히는 사고를 막기 위해서 부드러운 쿠션을 붙여두시는 게 좋습니다 특히 집안에서도 종종 뛰어다니는 아이들이라면 앞을 안 보고 돌아다니다가 부딪히기 쉽기 때문에 더욱 조심해야 합니다 

 

마치며

부모의 재량으로 사고를 막을 수 있는 부분들은 최대한 써주시는 게 소중한 우리 아이를 위험으로부터 지킬 수 있는 방법입니다 조금이라도 위험요소가 있는 물건이라고 생각되면 아이의 손에 닿지 않게 하거나 원천적으로 위험 자체를 차단하는 방법을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

 

 
 

더 많은 내용 알아보기

 

베이비시터, 월 300만원 가능? 자격증 신청하기

베이비시터, 월 300만 원 가능? 자격증 신청하기 베이비시터는 생후 36개월 이내의 아기들을 놀아주고 책을 읽어주며 간식도 만들어주는 등 말 그대로 아이들을 케어해 주는 업무를 수행하는 직

concook.tistory.com

 

 

아이 돌봄비 지원사업, 60만원 받아가세요!

9월 1일부터 처음으로 시작되는 지원금제도입니다 월에 60만 원까지 지급받으실 수 있는 제도로 9월부턴 서울 내년부턴 경남, 그리고 점차 전국적인 단위로 확대될 예정입니다 아이를 돌봐주면

concook.tistory.com

 

 

1020ㆍMZ세대 인싸용어ㆍ신조어ㆍ줄임말 정리

MZ세대, 그중에서도 10~20대의 젊은 층을 중심으로 줄임말이나 신조어, 소위 말하는 '인싸용어'가 쓰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런 단어를 아는지에 따라 젊은 세대와 어른을 구분하는 농담도 있는데

concook.tistory.com

 

반응형